AHN Sehong

AHN Sehong

 JUJU Project by AHN Sehong

AHN Sehong Photographer

Carminda Dou_ Estimated at 1926-2016 in Suai, East-Timor. Drafted year: 1942, 16y/o estimates, for 3 years

이수단 LEE Su-dan_ B. 1922-2016 in South Pyongan, Korea. Drafted year: 1940, 18y/o, for 5 years. Korean left in China

 

 

JUJU – Traces That Cannot Be Erased

Survivor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n Asia

JUJU ( 重重= meaning of `Layer by layer`)

Carminda Dou

  1. Estimated at 1926-2016 in Suai, East-Timor. Drafted year: 1942, 16y/o estimates, for 3 years

With a crooked back and small appearance, the victim looked over 90 years old. Having Alzheimer’s for a long time, her memories were gone and it was difficult to carry out even a normal conversation. Luckily, I was able to hear some of her story from her younger sister Martina, who was also living with her.

Though they were sisters, they had grown up in different places since they shared the same mother, but had different fathers. Around when the Japanese troops came in, the two sisters were both taken away at a similar time, but were unable to hear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younger sister, the Japanese army made their way towards her sister’s place, where they forced her away. Then for 3 years before the war ended, she was forced under sexual slavery.

Throughout the interview, the elder sister sat next to her sibling and simply smiled. In the middle, she suddenly began to count ‘イチ、ニ、サン(1, 2, 3)’ in Japanese. The family tells her to continue talking, but she no longer speaks. As her sibling begins to tell of the atrocities of the Japanese troops, the older sister’s smiling face begins to contort. The victim has already lost so many memories, but she cannot erase the pain that remains in her heart. The sisters were 4 years apart in age, making it possible to reason that the elder sibling was born around 1926.

* With a high door sill and small entrance, the house was difficult for me to even enter. I was worried about the grandma, who had difficulty walking, moving around this dangerous area. Light was unable to properly enter as everywhere was sealed, but she spends her days eating and resting in her room.

LEE Su-dan

  1. 1922-2016 in South Pyongan, Korea. Drafted year: 1940, 18y/o, for 5 years. Korean left in China

It was a Japanese informant who took me away. He was wearing a uniform and a sword. I thought I would be paid money and clothes for doing chores in Manchuria. I received 480 won as an advance payment for a 3-year contract, which I gave to my step mother. When I arrived in Manchuria, it was not a factory but a brothel type of place. The owner was a Japanese couple, and they called me Hidomiひどみ. 8-10 soldiers came a day. When soldiers bought the ticket, the owner gave them condoms.

A military doctor examined for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and found that I had a serious venereal disease. I was sent to a hospital in Dongning东宁 and treated there for 10 days. When I wa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I came back to find a “Do not enter” sign on my door.  All the cost for the medical treatment and the money I couldn’t make during the time became my debt.  After the war ended and liberation came, I decided not to go back because I didn’t think I’d feel comfortable in my hometown. I married a Chinese man near here. He was so violent that all the neighbors told me to get a divorce. I couldn’t bear to live with him anymore, so I left and came to this nursing home alone.

* Since she couldn’t bear her own child, she became obsessed with baby.  As she became schizophrenic, she put a picture of a baby in her room.  The director of the nursing home gave her a baby doll.  She treated it like her own baby that she talked to it and slept with it in her arms.

Sehong Ahn

JUJU – Traces That Cannot Be Erased

About 20 years ago, I met survivor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at a place called “Na-num (meaning of sharing in Korean)” for the first time in my life. I still can’t get rid of those fiery eyes from “Han (meaning of hatred in Korean)” embedded in their hearts, and this continues to motivate me to photograph them until now. From the bottom of my heart, I empathized those Korean survivors’ sufferings after meeting them in 2001, who were left alone in this infertile land in China. It was a starting point for me to meet other survivors in all other Asian countries.

During the WWII, when Japan evoked the wars everywhere in the Asia-Pacific coasts, many women were abused for sexual slavery and violence by Japanese military. In 2013, I took my journey in Korea, China, the Philippines, Indonesia and East-Timor and met 90 survivors who were still present. From the remote areas of inland China to Indonesia, and up-country in the frontier of East-Timor, I could witness at glance the truth in living histories through my journey by airs, trains and walks. Survivors openly welcomed me as a stranger visited their villages, and expressed to me their tears and moans hidden in their minds for a long time. Survivors had their former-Japanese names tattooed on their arms. Although each memory was disconnected from one to another, their testimonies gave me clear pictures. Unpleasant memories from their sufferings have already left them inerasable traces in their hearts even after they aged now from 80s to 90s.

Life as a human was taken over by Japanese military, and it is too late to take it back. Thru double interpretation, I could feel their hatred “Han” and rough breathings arising from the memories. Their sufferings in memories are not only about 70 years ago, but still living in their hearts until now. Their moans are piled up over and over from the cold eyes from people around, religious discrimination, and Japan and other countries which eyes off from those survivors. I cried and laughed together with survivors, but there was a boundary I had to confront that I needed to picture them as objects in my camera. It hurt me, and tears came down from my eyes. The best I could do for them is to picturize survivors’ internal lives thru their past to present behind the tears filled in realities.

Survivors are erased one by one into backside of histories as their bodies grow sick and they become unable to move by themselves. Those sufferings of survivors need to be engraved in all of our minds as historical and human rights issues, not just as someone’s traced memories and tears. The testimonies of the survivors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n Asian countries are not merely part of a past 70 years ago, but messages that must be delivered towards our future.

JUJU project

“JUJU” is a project that has met not only with the Chosun peoples in Korea and left in China, but also with over 140 victims in various other countries, including the Philippines, Indonesia, East Timor, and China, in order to record the testimonies and pain of the Japanese army sex slavery victims for the past 20 years. It has also confirmed that all atrocities and inhumane acts, including forced conscription, imprisonment, sexual abuse, and abandonment, continue to remain as indelible wounds in the hearts of the victims.

Through various public events, such as photo exhibitions and lectures, we empathize with the victims’ pain along with many others and share in their lives. JUJU continues communication by linking the victims and citizens in a triangular structure, and works for the improvement of the victims’ living conditions by fixing homes and providing health examinations or medical support.

We must continue to record and be interested in the issue of Japanese army sexual slavery so that it is no longer distorted or concealed. Together with you, we create a cornerstone for truth commission and antiwar peace beyond the issue of certain countries, and from an international war crime perspective, so that this issue is not just the memory nor tears of individuals, but a shared history and human rights matter for everyone.

 

 

겹겹 지울 수 없는 흔적

JUJU – Traces That Cannot Be Erased (JUJU: Layer by layer)

사진설명

Carminda Dou

B. Estimated at 1926-2016 in Suai, East-Timor. Drafted year: 1942, 16y/o estimates, for 3 years

구부러진 등허리, 왜소해 보이는 피해자의 나이는 90세가 넘어 보였다. 오래 전 부터 알츠하이머가 진행되어 당시의 기억은 물론 일상적인 대화조차 이어 나갈 수 없었다. 다행히도 같이 살고 있는 동생 Martina씨로부터 언니의 이야기를 조금이나마 들을 수 있었다.

둘은 자매이지만, 어머니는 같고 아버지가 서로 달라 어린 시절 서로 다른 곳에서 자랐다. 일본군이 들어왔을 무렵 언니와 동생은 비슷한 시기에 둘 다 일본군에게 끌려v갔지만, 서로 소식을 몰랐다. 동생 말에 의하면, 일본군이 길을 만들면서 언니가 사는 곳까지 왔고, 언니를 강제적으로 잡아 갔다고 한다. 그리고 전쟁이 끝나기 전 3년 동안 성노예를 당했다고 한다.

인터뷰 내내 동생 옆에 앉아 있는 언니는 미소만 지을 뿐이다. 중간에는 언니가 갑자기 ‘イチサン(1, 2, 3)’ 일본 숫자를 발음하기 시작한다. 가족들은 계속 말해보라고 하지만, 더 이상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동생이 당시 일본군의 만행에 대해 이야기를 하자, 미소를 짓던 언니의 표정이 일그러지기 시작했다. 피해자는 이미 많은 기억을 잊었지만, 가슴속에 남아 있는 고통은 지울 수 없었다.

* 높은 문턱에 위치한 좁은 입구의 집은 내가 들어가기에도 힘들었다. 거동이 불편한 할머니가 이 위험할 곳을 드나들다가 넘어지지 않을까 걱정이 되었다. 사방이 막혀 빛이 제대로 들지 않지만, 방안에서 식사를 하고 쉬며 그렇게 생활을 한다.

이수단 LEE Su-dan

B. 1922-2016 in South Pyongan, Korea. Drafted year: 1940, 18y/o, for 5 years. Korean left in China

나를 데려간 것은 일본군의 앞잡이였어요. 군복을 입고 칼을 차고 있었어요. 나는 돈도 주고, 옷도 주고 만주에서 허드렛 일을 하는 줄만 알았어요. 3년 계약으로 선금 480원을 받아 의붓 어머니에게 주고 왔어요. 만주에 도착해 보니 공장이 아니라 유곽 같은 곳이었어요. 주인은 일본인 부부였고, 나를 히도미ひどみ라고 불렀어요. 하루에 8-10명의 군인이 왔어요. 낮에는 일반 군인이 왔고 밤에는 장교들이 와서 자고 갔어요. 군인들이 주인에게 입장표를 사면 콘돔도 같이 받아 왔어요.

일본 군부대에서 군의관이 성병 검사를 했는데, 그만 큰병(성병)에 걸렸어요. 동닝 병원에 가서 10일 동안 치료를 받았어요. 퇴원해서 돌아왔는데, 내 방문 앞에 출입금지 표시를 해 두었어요. 치료에 들어간 돈도 내 몫이고, 일 못 한 돈도 빚으로 남았어요. 전쟁이 끝나고 해방이 됐지만, 고향에 마음을 붙이지 못할 것 같아 돌아가지 않았어요. 이 근처에서 중국인 남편을 만나 살았어요. 폭력이 심해 마을에서도 이혼하라고 할 정도였어요. 도저히 살 수가 없어 나중에는 혼자 경로원에 들어왔어요.

* 자신의 아이를 낳지 못한 할머니는 나이가 들수록 아이에 대한 집착이 커졌다. 정신분열증이 생기면서 아이 사진을 방에 붙여 두었다. 그리고 경로원장이 선물한 인형을 아기처럼 생각하며 얘기를 나누고, 잘 때도 안고 잤다.

사진전 서문

겹겹 지울 수 없는 흔적

20여 년 전 한국의 나눔의 집에서 처음 만난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들의 가슴속에서 묻어 나오는 한 맺힌 눈빛과 말을 잊을 수 없었다. 그것이 지금까지도 내가 그분들을 만나고 사진을 찍는 원동력이다. 2001년에는 전쟁이 끝나고서도 척박한 중국에 버려져야만 했던 조선인 피해 여성들을 만나면서 나는 가슴 깊이 그녀들의 고통을 받아들였다. 그리고 아시아 여러 나라의 피해자들까지도 만날 수 있었다.

2차 세계대전, 일본이 전쟁을 일으킨 아시아 태평양 연안의 나라 어디든 수많은 여성들은 일본군으로부터 성폭력을 당해야만 했다. 2013년부터는 한국 , 중국 , 필리핀 , 인도네시아, 동티모르에서 90여 명의 생존자들을 만났다. 중국 내륙의 오지에서부터 인도네시아 , 동티모르의 변방 깊숙이 이르는 곳에서까지 살아있는 역사의 진실을 엿볼 수 있었다. 낮선 이방인의 방문에도 그녀들은 스스럼없이 나를 맞아 주었고, 가슴속에 묻어 두었던 눈물과 고통을 보여 주었다. 팔뚝에 문신으로 새겨진 일본식 이름, 토막 난 기억 속에서도 그녀들의 증언은 생생하게 전해져 왔다. 80-90대의 고령이 되어 버린 그녀들의 가슴속에 고스란히 남아 있는 응어리는 더 이상 지울 수 없는 흔적이 되어 버렸다.

일본군에 의해 강탈 당한 인간으로서의 인생은 되돌릴 수 없는 현실이 되어 버렸다. 이중 통역 속에서도 낱낱이 드러나는 그녀들의 한 맺힌 가슴과 거친 숨소리는 70 여 년 전의 과거가 아닌 지금까지도 이어져오는 현재 진행형이었다. 주변의 차가운 시선, 종교적 차별, 가해국과 피해국의 외면 등 이 모든 것에 그녀들의 고통은 겹겹이 쌓여만 가고 있다. 이렇게 그녀들과 함께 울고 웃으며 보내는 시간 속에서도 사진가로서 그녀들을 피사체로 바라봐야만 하는 경계에서 눈물을 흘려야만 했다. 눈물이 눈물만을 가져오는 현실을 뒤로하고 피해자들의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는 삶의 내면을 카메라의 렌즈에 담는 것이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이었다.

그녀들은 병들고 , 혼자서는 무엇조차 할 수 없는 몸인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고 있다. 더 이상 누군가의 기억과 눈물이 아니라 이제는 모두의 역사와 인권으로 남아야 한다. 아시아의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들의 증언은 70여 년 전 과거가 아닌, 우리가 풀어야 할 미래의 메시지이다.

안세홍 (AHN Sehong)

겹겹프로젝트

겹겹은 지난 20년간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의 증언과 고통을 기록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에 남겨진 조선인뿐만 아니라, 필리핀,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중국 등 여러 나라에서 140여 피해자를 만나 기록과 지원을 해온 프로젝트입니다. 또한 강제 징집, 감금, 성폭력, 버려짐 등 이 모든 만행과 반인권적인 행위가 피해자의 가슴속에 여전히 지울 수 없는 흔적으로 남아 있음을 확인한 작업이기도 합니다.

사진전과 강연회 등 활동을 통해 힘겹게 살아가는 피해자들의 고통에 많은 사람들과 공감하고 그 삶을 함께 나눕니다. 겹겹은 피해자와 시민을 삼각형의 구도로 연결하여 소통을 이어 나가며, 피해자의 생활 환경 개선을 위해 집을 고치고 건강 진단이나 의료 지원을 합니다.

일본군 성노예 문제가 더 이상 왜곡, 은폐되지 않기 위해서 끊임없는 관심을 기울이고 기록을 해야 합니다. 개개인의 기억과 눈물이 아니라 모두의 역사와 인권 문제로 남을 수 있도록 개별 국가의 문제를 넘어 국제적 전쟁 범죄의 관점에서 진상 규명과 반전 평화를 위한 초석을 여러분들과 함께 만들어 나갑니다.

안세홍

사진가 안세홍은 1996년부터 한국을 비롯한 중국에 남겨진 조선인 생존자를 기록하고 있다. 2013 부터는 필리핀, 인도네시아, 동티모르 생존자의 증언과 사진을 기록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여러나라에서 아사아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의 정의와 평화를 위한 사진전, 강연회, 역사기록과 생존자를 지원 하는 겹겹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